안전하다고 알려진 DLS, 왜 손해보게 된 걸까?

by 신혜리

금융기관에서 추천하는 파생결합 상품, 가입 전 잘 알아봐야 하는 이유

독일 국채 또는 미국 국채의 금리와 연계된 DLS (파생결합 증권) 상품에 가입했다가 큰 손해를 입은 투자자들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많게는 수억원 넘게 투자했다가 한 푼도 못 건지고 모두 날릴 위기에 처한 투자자들도 있습니다. 특히 예금 금리가 1% 대일 때는 고수익을 쫒는 투자자들의 무분별한 투자가 많아지고 있기에 주의가 요구됩니다.

먼저 DLS 상품이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DLS는 ‘파생결합’ 상품에 속하는데요. 파생결합 상품에는 대표적으로 DLS와 DLF가 있습니다.

DLS 의 S는 증권(Securities)을 뜻하고 DLF 의 F는 펀드(Fund)를 뜻합니다. 즉 DLS 는 ‘파생결합 증권’ (Derivatives Linked Securities)의 약자이고, DLF 는 ‘파생결합 펀드'(Derivatives Linked Fund)의 약자인 것이죠.

DLS 와 DLF 는 기초자산 가격이 정해진 만기일까지, 처음 세팅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면 약속된 수익을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그러나 가격이 계약 내 명시된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원금을 전부 날릴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어요.

* DLS 는 주가지수나 주식이 아닌, 이자율(금리), 환율, 원자재(석유, 곡물, 금, 은 등), 신용과 같은 기초자산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상품입니다. 

* 주가지수, 주식이 기초자산으로 한정되어 있는 상품은 주가연계증권(ELS)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투자금의 70%는 채권에 투자하고 나머지 30%는 선물 옵션 등에 투자합니다. 주식보다는 위험률을 낮게 가져가고 예금보다는 수익을 높게 가져가는 구조라고 보시면 돼요. 하지만 원금 보장이 되지는 않습니다.

* 같이 읽으면 더 좋은 아티클 [비교적 안정성 높다는 채권 투자란?]

독일 국채 DLS, 왜 문제가 된 걸까요?

이번에 논란이 된 ‘독일 국채 DLS’ 는 10년 만기 금리에 연동되어 있습니다.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두고 설계된 상품이라 보시면 되는데요.

독일은 유럽에서도, 전세계적으로도 ‘경제 강국’이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은행도 이 상품을 팔 때 “독일이 망하지 않는 이상 원금 손실 가능성은 없어요.”라고 했던 것이죠.

이 상품이 손실을 보지 않기 위해서는 금리가 마이너스 구간에 들어서면 안 되는데요. 독일 국채 연계 DLS 의 경우 일정 기간 금리가 -0.2% 포인트 이상이면 연 4.2% 수익이 보장되지만, -0.7% 포인트 이하로 떨어지면 원금 전액을 날리는 구조입니다. 

문제는, 이 상품에 가입하는 고객들이 “설마 독일 금리가 마이너스 이하로 떨어지겠어?”라고 생각하고 이 상품에 최고 몇 억원의 자금을 투자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유럽 국가의 금리는 마이너스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독일의 10년 만기 국채가 -0.7%대를 기록했고, 스위스의 10년 만기 국채도 -1.1%대까지 떨어진 상황이에요.

또한 유럽​​중앙은행(ECB)이 조만간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관측까지 나오면서 세계 금리는 하락 추세입니다. 설마했던 상황이 순식간에 찾아온 것입니다.

국채 금리가 마이너스까지 내려갔는데도, 금융 기관은 왜 매입한거죠?

독일은 지난 7월, 국채 30년 만기 신규발행 입찰에서 사상 최초로 이율없는 제로 쿠폰으로 발행했습니다. 이 때문에 발행 금액은 목표치였던 20억 유로의 절반에도 못 미쳤어요. 현재 해당 국채 금리는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습니다.(2019년 기준)

30년 동안 받을 수 있는 이자도 없고 오히려 마이너스인 이 국채를, 투자자들은 왜 매입하는 것일까요? 이유는 ‘국채는 안전자산’ 이라는 기본적인 특성 때문입니다. 

전 세계 대형 금융기관들은 자산의 일부분을 반드시 ‘안전자산’으로 보유해야 합니다. 금융회사가 고객이 맡긴 돈 전부를 위험자산에 투자하면 대규모 금융위기가 촉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 중 하나로 꼽히는 독일 국가의 채권이 금융기관들에게 인기가 많은 것이고요 

또다른 이유는 국채로 얻어지는 ‘수익‘ 때문인데요. 국채는 이자가 없더라도, 나중에 금리가 하락하면 가격은 상승하기 때문에, 여기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국채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이죠. (주식과 비교해본다면 ‘배당금’과 나중에 주가가 오를 경우 ‘차액으로 인한 수익’으로 볼 수 있습니다.)

토스피드의 외부 기고는 외부 전문가 및 필진이 작성한 글로 토스팀의 블로그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되며, 토스피드 독자분들께 유용한 금융 팁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명한 금융생활을 돕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도 소액부터 차근차근
의견 남기기
신혜리 에디터 이미지
신혜리

경제부, 금융부, 국제부 기자 경험과 캐나다 Scotia Bank 뱅커 경험이 있습니다. 프리랜서 경제 전문 기자로서 국내외 경제 이슈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고,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필진 글 더보기

추천 콘텐츠

지금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