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만 24세 청년이라면 기본소득 100만원 받으세요

by 이지현

경기도에 사는 만 24세 청년이라면 청년기본소득 10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 2분기 신청이 시작돼 7월 1일까지 접수를 받으니 꼭 챙겨보세요.

기본소득은 뭐고, 왜 만 24세에게만 주는 건가요?

기본소득은 모든 국민에게 최소한의 생활비를 지급하는 제도를 말해요. 경기도에서는 대학졸업생의 평균 나이(만 24.4세)에 있는 청년들이 취업을 준비하고 있거나 사회초년생일 것으로 보고 생활 지원이 가장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해 만 24세를 대상으로 청년기본소득을 지원하고 있어요.

구체적인 지원 조건이 궁금해요.

소득이나 취업 여부와 상관없이 아래 세 가지 조건에만 해당되면 신청할 수 있어요. 주민등록초본 등 필수 서류도 제출해야 해요.

  • 신청일을 기준으로 경기도에 살고 있어야 하고요.
  • 최근 3년 동안 계속 경기도에 살았거나 경기도에 산 기간이 총 10년 이상되어야 해요.
  • 생일이 1997년 4월 2일~1998년 4월 1일 사이에 있는 만 24세만 가능해요.

100만 원은 어떻게 받아서 어떻게 쓰나요?

  1. 분기별로 나눠서 받아요 분기별로 25만원씩 나눠서 주는데 최대 4분기, 총 1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전자카드 또는 모바일 형태로 지역화폐를 받아요. 지급 대상자로 뽑히면 문자메시지가 오고, 신청할 때 입력한 주소로 카드가 갈 거예요. 
  2. 체크카드처럼 쓰면 돼요 카드를 고객센터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등록하면 체크카드처럼 사용이 가능해요. 주소지로 등록된 지역에서 전통시장 또는 소상공인 업체에서만 쓸 수 있어요.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유흥업소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요.

만 24세가 곧 끝나는데, 지난 분기 신청을 못 했어요

신청을 놓친 기간에 대해 소급 적용 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생일이 1997년 4월 2일인데 이번이 첫 신청이라면 지난 2021년 3분기부터 2022년 1분기까지 지급받지 못했기 때문에 소급 신청 항목에 표시하면 돼요. 단, 해당 기간에 대해 위에 적힌 거주 조건을 충족해야 하고요.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홈페이지 공고를 확인하거나 경기도 콜센터(031-120)로 문의하면 돼요.

신청할 때 주민등록초본을 제출해야 해요토스 주민센터에서 공동인증서 없이 받을 수 있어요.
    의견 남기기
    이지현

    지금 필요한 콘텐츠를 찾아 사랑받을 수 있는 콘텐츠로 기획하고 알리는 일을 합니다.

    필진 글 더보기

    추천 컨텐츠

    지금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