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보안 캠페인 오리지널 필름 ‘블록 버스터즈’ 공개
ㆍby 토스
토스가 7월 20일(목) 저녁 6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보안 캠페인의 두 번째 오리지널 필름 ‘블록 버스터즈(Block Busters): 중고거래 사기에서 살아남기’ 본편을 공개한다.
토스는 ‘정보보호의 달’인 7월 한 달간 집중적으로 보안 캠페인을 진행 중이며, 그 일환으로 토스 오리지널 필름 두 편을 제작했다. 첫 번째 편인 ‘헬소닉(Hellsonic)’은 화이트해커로만 구성된 토스 보안기술팀의 이야기로, 본편 공개 20일 만에 조회수 200만을 넘어서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두 번째 오리지널 필름 ‘블록 버스터즈’는 일상에 가장 가까운 금융 범죄인 중고거래 사기 범죄를 추적하는 다큐멘터리다. 타이틀에서부터 중고거래 사기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벽돌(Block)’을 활용했다. 여기에 ‘추적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의 ‘버스터즈(Busters)’를 더해 ‘중고거래 사기를 추적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제목 ‘블록 버스터즈’가 완성됐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2년 중고거래 사기 피해 건수는 약 8만 3천여 건에 이른다. 하루 평균으로 따지면 200건 이상인 셈이다. 또한 조직형 범죄로 번지며 규모도 날로 커져가고 있다. 10대 청소년이나 중장년층 등 디지털 금융 취약 계층이 중고거래 범죄의 가장 큰 타깃이 된다는 점도 큰 우려점이다.
하지만 중고거래 사기는 개별 사건의 피해액이 크지 않다는 이유로 그 주목도가 높지 않다. 이에 토스는 ‘블록 버스터즈'를 통해 중고거래 사기에 대한 심각성을 조명함으로써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했다.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들뿐 아니라 첫 대화부터 송금 직전까지 중고거래 범죄의 발생 과정을 생생하게 담았다. 또한 직접 추적하며 문제를 파헤치는 과정들을 통해 중고거래 시 주의해야 할 부분들을 함께 전달하고자 했다.
특히, ‘블록 버스터즈’에서는 지난 8년 동안 수백여 명을 상대로 사기를 저지르고 있는 조직을 집중 조명한다. 해당 조직은 대기업 직원들의 신분을 사칭해 전자기기 ‘직거래’를 빌미로 중고거래 사기를 지속하고 있다. 제작 과정에서 중고 사기 범죄와 싸우고 있는 '사기나라' 운영진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해당 조직으로 추정되는 판매자를 포착했으며, 거래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직접 통화를 나눈 내용까지 다큐멘터리에 담았다. 또한, 중고거래 사기를 넘어 2차, 3차 피해까지 당하고 있는 피해자들의 증언도 담겼다.
‘블록 버스터즈’를 연출한 토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팀 김창선 PD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는 중고거래 사기 이슈를 깊이 있게 추적해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앞으로 더 이상 피해자가 생기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이번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게 됐다”라며 "사기 조직을 추적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널리 알려지기를 바라며, 금융 브랜드로서 토스가 하고 있는 다양한 노력도 함께 전해지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블록 버스터즈: 중고거래 사기에서 살아남기'는 7월 20일(목) 저녁 6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된다. 영상 속 등장하는 ‘블록 버스터즈(중고 사기를 막는 사람들)’에게 응원의 댓글을 남기면 추첨을 통해 굿즈 패키지를 선물하는 시청자 이벤트도 진행한다.
한편, 토스는 송금하려는 계좌가 사기이용계좌인지 확인하는 ‘사기의심 사이렌’, 토스를 통해 송금하고 사기임이 밝혀졌을 때 내규에 따라 보상해 주는 ‘안심보상제' 등 중고거래 사기에 따른 직간접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안심보상제’는 사용자들이 토스를 통해 안심하고 금융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사건에서 명확한 책임소재가 나오기 전에 피해를 구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상의 범위 또한 명의도용, 보이스피싱, 중고거래 사기 등 다양하다.
‘안심보상제’는 지난 2020년 7월 처음 도입되었으며, 지난 2022년 한 해 동안 약 2,500명의 고객이 15억 8,000만 원 상당의 피해를 구제받았다. 또한 2022년 보상을 분석한 결과, 결제보다 송금 영역에서 사기 의심 거래가 많이 발생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사기 의심 유형은 중고거래였다. 중고거래 사기는 안심보상제 건수의 90%를 차지했으며, 1건당 평균 구제액은 약 37만 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