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 보증금 대출, 어떤 걸 받아야 하나요?
ㆍby 썸렛
Q. 월세 보증금이나 전세자금을 빌려야 할 것 같은데, 어떤 대출 상품이 좋을까요?
전셋집에 들어가기 위한 전세자금 혹은 월세 집에 들어가기 위한 보증금을 빌리려고 한다면요. 먼저 이자를 적게 낼 수 있는 전세자금 대출 상품을 찾아 최대한 많은 돈을 빌린 뒤, 나머지 돈은 신용대출 혹은 예금∙적금∙주택청약 등의 담보대출 등을 활용하는 게 좋아요.
이에 따라 낮은 금리로 전세자금을 빌려주는 주택도시기금 등의 상품을 먼저 살펴 보는 게 좋은데요. 먼저 만 19~34세 청년을 기준으로, 연 소득에 따라 고려해 볼 법한 상품들을 소개해 볼게요. 참고로 전세자금 대출을 하기 위해서는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한 뒤 은행에 전세자금 대출을 신청하러 가야 하고요. 월세 보증금을 빌릴 때도 전세자금 대출 상품을 활용할 수 있으니, 월세 보증금을 대출해야 하는 분들도 알아두면 좋아요.
1. 연 소득 3500만 원 이하라면 받을 수 있는 전월세 대출
혼자 벌어 연 소득 3500만 원 이하 또는 결혼해 둘이 벌어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이면서, 중소·중견기업 직원 또는 청년창업자일 경우엔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는데요. 이 상품은 전세자금 대출 상품 가운데 금리가 가장 낮은 1.2%로, 최대 1억 원까지 빌릴 수 있어요. 대출 기간은 처음에 2년으로 시작한 다음, 4번 연장해 최장 10년까지 늘릴 수 있어요.
2.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라면 받을 수 있는 전월세 대출
혼자 벌거나 부부 합산으로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이거나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인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 등인 경우엔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청년 버팀목 전세 대출)’을 받을 수 있어요. 빌릴 수 있는 한도는 최대 2억 원으로 2억 원과 전세금액의 80% 가운데 더 낮은 금액만 빌릴 수 있고, 대출 기간은 2년부터 시작해 4번 연장할 수 있어요. 금리는 연 1.5%~2.1%이며, 아래 그림과 같이 소득별로 다르게 적용돼요.
3. 청년 요건(만 19~34세)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받을 수 있는 전월세 대출
혼자 벌거나 부부 합산으로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이거나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인 신혼부부, 다자녀가구 등인 경우엔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어요. 한도는 집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 있을 경우 1억 2000만 원까지, 수도권에 있지 않을 경우 8000만 원까지 빌릴 수 있고요. 자녀가 2명 이상이면서 수도권이라면 2억 2000만 원까지, 자녀가 2명 이상이면서 수도권이 아니라면 1억 8000만 원까지 가능해요. 대출 기간은 2년부터 시작해 4번 연장할 수 있어요. 금리는 연 1.8%~2.4%이며 아래 그림과 같이 소득별로, 보증금별로 다르게 적용돼요.
4. 요건에 해당하지 않거나 더 많은 돈을 빌려야 한다면?
이 경우 시중은행의 전세자금 대출 상품을 알아봐야 해요. 가장 낮은 금리로 월세 보증금 또는 전세자금을 빌리기 위해 은행마다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냐, 없냐를 따져 보는 게 좋아요.
Edit 송수아 Graphic 조수희 엄선희
토스피드의 외부 기고는 전문가 및 필진이 작성한 글로 토스피드 독자분들께 유용한 금융 팁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명한 금융 생활을 돕는 것을 주목적으로 합니다. 토스피드의 외부 기고는 토스팀의 블로그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되며, 토스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슬기로운 투자자를 위한 써머리 레터, 썸렛입니다. 매주 월요일, 꼭 알아야 할 뉴스는 물론 현직 기자의 인사이트와 부동산 임장기, 깨알 재테크 정보까지! 투자에 대한 (거의) 모든 걸 전해 드려요.
필진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