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퍼링이 뭔데 주식시장이 흔들리나요?
ㆍby 토스증권
최근 주식이 많이 떨어져서 이유를 찾다가 “테이퍼링 우려로 주식 시장 급락”이라는 뉴스 보신 분 계실 텐데요. “테이퍼링”이 도대체 뭘까요? 테이퍼링은 주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각국 중앙은행이 돈을 마구 풀었던 2020년
시계를 조금만 뒤로 돌려볼까요? 코로나19로 인해 작년 글로벌 경제는 전에 없는 위기를 맞았죠. 얼어붙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은 돈을 풀고 금리를 낮췄어요. 이를 ‘유동성 공급’, 혹은 ‘양적 완화’라고도 표현합니다.
과거에도 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공급했지만, 이번 코로나19 위기 때의 유동성 공급은 정말 역대급이었어요.
이 차트는 지난 20년 미국의 시중 통화량(M2*)의 연간 증가분을 나타내는데요. 2020년 미국 통화량 증가가 정말 눈에 띄죠?
* M2: 통화량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M1(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예금의 합계)에 만기 2년 미만 금융상품을 더한 것
경제는 최악이라는데 주식이 오르고 집값도 오르고?
유동성 공급으로 과장을 조금 보태면 세상 모든 투자처에 돈이 몰리기 시작했어요. 주식 시장은 물론이고, 비트코인과 부동산, 미술품 등 모든 자산의 가격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금리가 낮아지면 은행에 돈을 저축하는 대신 투자를 해서 조금이라도 수익을 보고 싶은 사람이나 기업이 늘겠죠. 대출을 받아서 투자하는 기업이나 사람의 이자 부담도 적어지고요.
시중에 풀린 돈이 많아지니까 화폐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요.
이런 원리로 기업 투자가 늘고 자산 가격은 오르고 경제가 활성화됩니다. ‘유동성 파티’가 열리는 거죠.
그러나 파티가 계속 이어질 수는 없습니다. 자산 가격만 오르는 게 아니라 물가도 같이 오르거든요. 시장 전반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거죠.
테이퍼링; 돈줄을 점점 잠그는 것
‘유동성 파티’를 끝낼 사람은 언제나 그렇듯 파티를 시작한 사람, 바로 중앙은행입니다.
미국 FED*의 의장을 지낸 윌리엄 마틴은 중앙은행의 역할을 “파티가 한창 무르익을 무렵 펀치볼(punch bowl)을 치우는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펀치볼은 파티에서 달콤한 술을 담아두는 큰 그릇이에요. 파티가 한창일 때 더 취하지 않도록 술을 정리하는 것처럼, 경제가 활황일 때 지나치게 과열되지 않도록 돈줄을 죄어야 한다는 걸 비유적으로 표현한 겁니다.
이게 바로 ‘테이퍼링(Tapering)’이에요. 사전적 의미는 “양적 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것”입니다.
그간 유동성으로 파티를 즐기던 투자 자산(주식, 부동산 등)엔 악재가 될 수 있어요. 그래서 “테이퍼링 우려로 주식 시장이 흔들린다”는 식의 뉴스가 자주 보이는 거랍니다.
* FED(미국연방준비제도이사회): 미국 정부의 금융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관으로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함
테이퍼링, 언제 시작될까요?
8월 18일, FOMC*의 7월 회의록이 공개되었습니다. “올해 테이퍼링을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였지만, 정확히 정해진 건 없었어요.
8월 27일에는 제롬 파월 FED 의장의 잭슨홀 연설**이 화제가 됐어요.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을 이야기했지만 동시에 너무 빠른 테이퍼링, 금리 인상은 경제에 해가 된다는 입장을 밝혔죠. 테이퍼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말에 미국 주식 시장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이처럼 주식 시장은 테이퍼링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해요. 중앙은행도 이걸 알고요, 그래서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은 ‘천천히’, ‘점진적으로’ 진행하겠다고 여러 번 이야기했어요.
테이퍼링은 “파티가 한창 무르익을 무렵”, 즉 경제가 활황일 때 시작될 거예요.
* FOMC(미국연방공개시장위원회): FED 산하에서 공개시장 조작에 관한 정책을 담당하는 위원회
** 잭슨홀 미팅(Jackson Hole Meeting):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 지역에서 매년 8월 열리는 경제정책 토론회로, 주요 국가의 중앙은행 총재와 재무부 장관, 경제학자 등이 참석하여 세계경제 현안과 각국 통화정책을 논의함
지금 미국 경제는 좋은 건가요?
경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많은 지표가 있는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실업률 등의 고용관련지표입니다.
코로나 직후 미국의 2020년 4월 실업률은 14.7%까지 치솟았다가, 경제가 회복되면서 점차 낮아지고 있어요.
8월 초에 발표된 미국의 7월 실업률은 시장의 기대보다 좋았어요. 시장은 5.7%의 실업률을 예상했는데 실제 실업률은 5.4%였거든요.
시장은 9월 초에 발표될 8월 실업률에 주목하고 있어요. 현재 전문가들이 예상하는 8월 실업률은 7월보다 조금 더 낮은 5.2%입니다.
경제가 좋아진다면 주식 얼른 다 팔아야 하나요?
“Good is Bad, Bad is Good.” 요즘의 주식 시장을 표현하는 말이에요.
글로벌 경제 지표가 좋으면 사람들은 ‘엇, 이제 곧 테이퍼링 시작할 테니 주식은 팔아야겠다’라고 생각해요. 지표가 나쁠 때는 반대로 반응하고요.
그래서 경제가 나빠질 때 주식 시장이 타오르고 경제는 좋아지고 있는데 주식 시장은 차가운, 역설적 현상이 발생하곤 했죠.
풀린 돈이 줄어드는 이 시기,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까요?
주식 시장에 몰렸던 돈이 빠져나가면서 주식 시장에 찬 바람이 불 거라는 전망이 있는 반면, 모두가 연내 테이퍼링을 이미 예상하고 있어서 테이퍼링이 주식 시장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거라는 전망도 있어요.
이제 테이퍼링 뉴스가 나오면 관심을 갖고 지켜보면서 나만의 투자 전략을 고민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