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당했을 때 바로 해야할 대처법 5가지
요즘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 같아요”, “개인정보가 유출됐어요”라는 문의가 많아지고 있어요. 토스 고객센터에서 정리한 ‘제일 먼저 해야 할 보이스피싱 대처 가이드’를 전달해요.
실제로 금융 사고를 당하게 되면 경황이 없고, 경찰이나 은행에 문의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아래의 방법들을 통해 큰 사고를 막아볼 수 있어요. 반드시 순서대로 할 필요는 없어요.
1. 보이스피싱 대처의 기본, 신분증 분실 신고하기
내 신분증을 촬영해 누군가에게 전송했다면 반드시 분실 신고를 하는 것이 좋아요.
- 주민등록증 : 가까운 주민센터를 찾아가거나 정부24에서 본인 공동인증서로 접속해 분실 신고를 할 수 있어요. 정부24의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나 ARS(1382)를 통해 분실 처리 현황도 확인할 수 있어요. 밤 늦게 혹은 휴일에 신고했을 경우 ‘분실신고 접수’로 처리되고 읍·면·동 담당자가 확인한 뒤 ‘분실된 주민등록증’으로 변경되니 참고하면 좋아요.
- 운전면허증 : 가까운 경찰서에 방문하거나 안전운전 통합민원에서 재발급 신청을 하면 돼요.
2. 보유 중인 계좌, 카드 분실신고하기
이미 유출된 정보를 통해 어떤 사고가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불편하더라도 갖고 있는 모든 금융기관의 계좌, 카드를 분실 신고하는 것이 안전해요.
- 계좌 : 각 금융사의 영업점이나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돼요. 해당 계좌와 연결되어 있는 보안카드나 OTP가 있다면 함께 분실신고하는 것을 추천해요. 공동인증서가 발급되어 있다면 폐기하는 것이 좋아요. 다만 주민등록증 등 다른 분실신고를 할 때 공동인증서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하는 순서를 잘 조정하는 것을 추천해요.
- 카드 : 분실 일괄 신고 서비스를 통해 여러 개의 카드 회사에 한번에 신고할 수도 있어요. 아래의 카드사를 이용하고 있다면 이중 하나의 카드사 고객센터로 전화해 일괄 분실 등록을 하면 돼요. 그 외 카드사는 각 금융사 고객센터에 문의해야하고요.
3. 개인정보가 노출됐다면 사고예방시스템에 등록하기
사고예방시스템은 개인정보가 노출된 고객이라는 것을 금융사에 알려서 계좌, 카드, 대출 등이 추가로 만들어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거예요. 하지만 등록했다고 해서 모든 금융사에 전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참고해야해요. 주로 2금융권은 잘 전달이 되지 않는 편이에요.
사고예방시스템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본인인증을 한 뒤 등록하거나 해지할 수 있어요. 전달되는 금융기관과 그렇지 않은 곳이 안내되어 있기 때문에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4. 이동전화 신규 가입을 막아 보이스피싱에 대처하기
유출된 개인정보가 대포폰을 만드는 데 악용될 수도 있어요. 때문에 이동전화 신규가입이나 명의 변경 등을 막아주는 엠세이퍼 서비스에 가입하는 것도 좋은 보이스피싱 대처 방법이에요. PC에서 엠세이퍼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해 가입할 수 있어요. 모바일에서는 신청이 어려워요. 각 통신사 지점(LG U+는 직영점)에서도 신청 가능해요. 해당 홈페이지에서 이미 내 명의로 가입된 휴대폰(대포폰)이 있는지도 알아볼 수 있어요.
5. 휴대폰 공장 초기화하기
휴대폰에 해킹 앱 등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다면 빠르게 앱을 삭제하고 공장을 초기화하는 것이 좋아요. 초기화하게 되면 연락처와 사진이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백업을 해두는 것을 추천해요. 휴대폰 제조사에 따라 지우는 방법이 달라요.
- 삼성 : 휴대폰 자체의 설정 – 일반 – 초기화 – 기기 전체 초기화
- 애플 : 휴대폰 자체의 설정 – 일반 – 아이폰 재설정 – 모든 콘텐츠 및 설정 지우기
- LG : 설정 – 일반 – 백업 및 초기화 – 화면 오른쪽 아래 ‘휴대폰 초기화’
이밖에 검사, 수사관이라면서 돈을 요구하는 전화를 받았는데 보이스피싱이 의심된다면 나에게 전화를 걸어온 사람이 진짜 검사인지 알려주는 콜센터도 있어요. 서울중앙지검이 365일, 24시간 운영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서류 “진짜인지 알려줘” 콜센터(찐센터)’인데요. 직통번호 010-3570-8242로 전화하면 전달받은 검찰 신분증, 관련 서류 등이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확인해주기 때문에 보이스피싱 대처를 잘 할 수 있어요. 지난해 기소된 보이스피싱의 약 40%가 검찰을 사칭하면서 “범죄에 연루되었으니 예금 보호를 위해 돈을 보내라”는 수법이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해요.
Edit 이지현 Graphic 이은호 함영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