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토스에서 내 자산관리 할 수 있어요
2022년 1월부터 마이데이터가 시행되면서, 이제 금융 앱 한 곳에서 더 간편하게, 한꺼번에 내 자산관리를 할 수 있어요.
마이데이터가 뭔가요?
내가 만들어낸 데이터의 주인이 나이기 때문에, 내가 주체적으로 관리하고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이에요.
마이데이터가 시행되면 A회사에서 만들어진 내 정보(데이터)를 B회사로 보내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에 남아 있는 내 잔액 정보를 토스 앱에서 보이게 보내달라고 할 수 있어요.
마이데이터가 시행되면 $username님에겐 이런 점이 좋아요
1. 모든 금융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은행의 ID/PW나 공동인증서가 있어야만 가져올 수 있었던 금융 정보를 토스인증서로 더 많이, 더 정확하게, 더 빠르게 가져올 수 있어요.
특히 그동안 토스에서 확인이 어려웠던 증권 계좌 잔액이나 포인트, 카카오머니, 네이버페이, 연금 정보 등도 확인할 수 있고요.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 등을 통해 돈을 쓴 기록도 토스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2. 나의 신용과 자산 분석이 가능해져요
그동안 토스를 가계부처럼 활용할 수는 있었지만, 모든 금융거래 정보가 있는 건 아니다 보니 내가 가진 정확한 자산을 파악하기 어려웠는데요.
앞으로는 내가 한 저축, 투자, 대출 등을 잘 정리된 정보로 볼 수 있어요. $username님의 순자산이 늘고 있는지 줄고 있는지도 그래프로 제공할 계획이고요.
아쉬운 소식도 하나 있어요. 마이데이터가 시행되면 나의 카드 실적 내역과 그에 따른 혜택은 토스에서 볼 수 없어요.
$username님의 정보를 토스로 불러오는 방식이 바뀌는데, 카드 실적은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에요.
편리할 것 같긴 한데, 보안도 잘 되어 있겠죠?
마이데이터의 개념이 ‘내 정보를 토스에서 볼 수 있게 요청하는 것'이라고 했잖아요. 만약에 토스에서 나의 자산 정보를 그만 보고 싶다면 언제든지 동의를 철회할 수 있어요. 그러면 그동안 불러왔던 정보는 토스에서 바로 삭제돼요.
마이데이터는 여러 정부기관이 모여 만든 API를 이용해요. 또, 마이데이터 사업을 하는 기업들은 보안성 심사도 받아야 하고요. 그러니 안전하게 이용해도 괜찮아요.
자산관리 기능 어떻게 이용할 수 있나요?
만 19세 이상이라면 아래 버튼을 눌러 내가 가진 계좌, 카드 등을 연결할 수 있어요. 아쉽게도 만 19세 미만은 아직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데요.
대신 오픈뱅킹(하나의 앱으로 모든 계좌, 조회, 결제, 송금 등을 할 수 있는 서비스예요)으로 계좌를 연결할 수 있으니 많관부!
나는 어디에 돈을 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