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이 뭐지?

by 김경곤

초등학교 시절, TV 채널을 돌리다가 우연히 G7 국가들(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봤습니다. 한국에 비해 경제적으로 많이 발전한 그들의 모습이 동심 속에 살던 제게 굉장히 인상 깊었는데요. 방송이 끝나고 올라가는 자막을 보며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도 저 나라들처럼 부자가 될 수 있을까?”

당시 저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부자라고 하면 ‘돈이 많은 사람’을 의미하는 것처럼, 부자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돈이 많아야 한다’고 말이죠. 그래서 고민 끝에 한국을 부자 나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냈습니다. 그건 바로…

한국은행의 돈 만드는 공장을 365일 24시간 가동해서 밤낮으로 돈을 찍어내는 것이었습니다. 영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한 장면처럼 한밤 중에도 밝은 조명을 빛내며 초콜릿 대신 지폐가 쉼 없이 만들어지는 장면을 상상했죠.

이렇게 쉬지 않고 돈을 찍어내면 중앙은행 금고에는 금세 돈이 넘쳐날 것이고 우리나라는 곧 부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초등학생이었던 저는 생각했습니다. 어떤가요? 여러분은 이 아이디어에 동의하나요? 

사실 이 아이디어는 심각한 결함이 하나 있습니다. 이번 주제이기도 한 인플레이션과 연관되어 있죠. 그땐 이 개념을 미처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율

인플레이션은 지난번에 다뤘던 GDP만큼이나 뉴스에서 많이 들어본 단어일 텐데요. 정의부터 먼저 살펴볼게요.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은 물가수준(이하 물가)의 상승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마트에서 장을 보다가 “물가가 많이 올랐네”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곧 인플레이션을 의미한답니다.

인플레이션이 물가 상승을 의미한다면, 그 기준이 되는 물가는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물가를 측정하는 여러 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여러분이 소비자로서 시장에서 구입하는 재화(goods)와 용역(services)의 평균 가격을 계산해 측정한 물가예요. 마트에 갈 때마다 항상 생수, 우유, 달걀, 빵, 쌀, 라면, 닭고기, 고등어를 쇼핑 카트에 담는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매번 장을 볼 때마다 영수증에는 우리가 구입한 생수, 우유, 달걀, 빵, 쌀, 라면, 닭고기, 고등어의 가격이 찍혀 있겠죠? 그리고 영수증이 한 장, 두 장 쌓여감에 따라 각 제품들의 가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추적할 수 있을 거예요.

소비자물가지수도 비슷한 방식으로 측정해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구입하는 제품들을 선정해서 그것들의 가격 변화를 지수로 만든 값이 바로 소비자물가지수죠. 한국은 통계청에서 매월 소비자물가지수를 계산합니다. 2015년 기준으로 총 460개의 대표품목을 선정하고 이것들의 가격 변화를 정기적으로 추적해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출하고 있어요.

인플레이션과 더불어 자주 사용되는 용어로 인플레이션율(inflation rate)이 있습니다. 물가가 얼마나 변화했는지 증가율로 계산한 값이에요. 통계청에서 발표한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가 100이었고, 올해 소비자물가지수가 103이라면 인플레이션율은 3%가 되는 것이죠.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 인플레이션율은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습니다. 경기불황 등으로 인해 지난달에 비해 이번 달의 물가가 오히려 떨어졌다면, 인플레이션율은 음(-)의 값을 갖습니다. 이렇게 물가가 하락하는 것을 디플레이션(deflation)이라고 불러요.

정리해보면, 인플레이션율은 물가가 상승하는지 하락하는지 증가율을 통해 측정하는 지표고요. 인플레이션율이 플러스(+)면 인플레이션, 마이너스(-)면 디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아래 그래프는 1914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로 계산한 인플레이션율입니다. 대부분의 기간에는 인플레이션율이 플러스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보여주지만 대공황(Great Depression)이 발생했던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그리고 잊혀진 공황(Forgotten Depression)이 발생한 1920년대 초반에는 인플레이션율이 마이너스 값을 갖는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 미국 노동통계국(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에서 제공하는 소비자물가지수를 바탕으로 연도별 인플레이션율을 계산하였으며, 단위는 %.

조폐공장에서 밤낮으로 돈을 찍어낸다면

물가는 왜 가만히 있지 않고 계속 변화할까요? 가령 여러분의 몸무게가 지난달에 비해 갑자기 늘었다면 거기에는 분명 이유가 있는 것처럼 말이죠. (코로나19 때문에 헬스장이 문을 닫아 운동을 못하는 상황에서 스트레스 때문에 야식을 너무 많이 먹었다든지…) 만약 작년에 비해 올해 물가가 상승했다면 여기에도 분명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거시경제학에서는 여러 이론들을 통해 물가 상승의 이유를 설명하는데요. 제가 소개해드릴 것은 화폐수량이론입니다. 아, ‘이론’이라고 하니까 갑자기 머리가 아프다고요? 그래서 이번에도 수학 방정식은 과감히 생략하고 핵심만 뽑아서 설명할게요.

이번 주제인 인플레이션에 대한 화폐수량이론의 핵심을 한 문장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한 경제의 인플레이션율은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통화량에 따라 결정된다.

즉, 한국은행에서 돈을 얼마나 찍어내느냐에 따라 한국의 인플레이션율이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하나 주의해야 할 점은, 이러한 통화량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는 주로 장기적 관점에서 유효하다는 사실이죠. 단기적 관점은 나중에 경기변동을 다룰 때 다시 이야기할게요.

서두의 질문으로 돌아올게요. 만약 제가 초등학생 때 생각한 것처럼 우리나라를 부자 나라로 만들기 위해 한국은행의 조폐공장에서 밤낮으로 돈을 찍어내면 어떻게 될까요?

화폐수량이론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쉬지 않고 돈을 찍어낼 경우 통화량이 급격히 증가할 것이고 그 결과 물가만 급속히 상승할 것입니다. 당시의 제가 이 이야기를 듣는다면 굉장히 실망한 표정을 지으며 이렇게 되물을 것 같아요. “돈을 많이 찍어내면 물가만 올라간다고요? (풀이 죽은 목소리로…) 그럼, 우리나라를 부자 나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 시점에 우리가 지난 글에서 다룬 국내총생산(이하 GDP)이 다시 등장합니다. GDP가 뭐였는지 기억하시나요? 복습 한 번 하고 갈게요. GDP는 ‘특정 기간 동안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모두 합한 값’이에요. 이제 여러분이 인플레이션 개념을 알게 되었으니 지난번에 말씀드리지 않은 GDP의 비밀 하나를 알려드릴게요. 

GDP를 계산하는 이유

GDP에는 두 종류가 있답니다. 명목(nominal) GDP와 실질(real) GDP인데요. 두 개를 구분하는 핵심이 바로 인플레이션이랍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는 거시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둘을 구분하는 차이점을 제대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GDP를 계산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우리가 구입한 것들의 시장가치를 늘 계산하고 있답니다. 마트에서 장을 보는 경우를 생각해볼게요. 계산대에서 결제한 뒤 받은 영수증에는 우리가 구입한 품목들 각각의 가격과 함께 해당 품목을 몇 개 샀는지, 제일 아래에는 그것들을 다 더한 총액이 나오잖아요? GDP도 똑같아요.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용역들의 가격과 수량을 곱한 뒤 다음과 같이 전부 합한 값이 GDP거든요.

  • GDP = (재화 1의 가격 × 재화 1의 생산량) + (재화 2의 가격 × 재화 2의 생산량) + … 

그런데, 이렇게 GDP를 계산하는 방식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만약 2020년에 비해 2021년 올해 우리나라의 GDP가 10% 상승했다고 가정할게요. “GDP가 10%나 상승했다고? 축하해야 할 일이네.”라며 샴페인을 신나게 흔든 뒤 뚜껑을 따려는 순간, 뭔가 이상함을 깨닫고 샴페인 병을 살며시 내려놓습니다. 자세히 보니, 작년과 올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수량은 똑같은데, 1년 사이 모든 재화와 용역 가격이 10%나 상승해 버린 거죠. 경제 규모는 그대로인데 물가가 오르자 GDP도 함께 증가하는 결과가 나와버린 셈입니다. 이는 현재 시점의 가격(current price)으로 계산한 명목 GDP를 사용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입니다.

이렇게 계산된 명목 GDP에는 생산량의 증가분뿐 아니라 노란색으로 표시한 것처럼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물가상승분도 섞여 있습니다.

우리가 GDP를 계산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뭘까요? ‘실제로 국내에서 얼마나 많이 생산했는지’ 알고 싶기 때문이죠. 가격 변화는 제외하고 오로지 생산량의 변화만을 보기 위함입니다. 이 문제는 GDP를 계산할 때 현재 가격 대신 기준 연도의 가격을 이용하는 실질 GDP를 통해 해결할 수 있어요.

이처럼 가격을 특정 연도에 고정하는 것을 불변가격(constant price)이라고 해요. 불변가격을 이용해 GDP를 계산하면, 해당 기간 동안의 물가 상승은 완전히 제거되고 녹색으로 표시한 것처럼 오직 생산량의 변화만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앞서 소개한 소비자물가지수 외 물가를 측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GDP 디플레이터(deflator)예요.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와 실질 GDP의 비율, 즉 ‘명목 GDP/실질 GDP × 100’으로 계산합니다. – 저자 주

실제 예를 통해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를 비교해 볼게요. 아래 그래프는 196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의 명목 GDP와 실질 GDP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명목 GDP는 각 연도의 가격(current price)을 사용해서 계산한 반면, 실질 GDP는 2010년 기준의 불변가격(constant price)을 사용해 계산했어요.

그 결과, 명목 GDP에는 물가상승분까지 포함되어 중간중간 큰 변동이 있는 반면, 물가상승분을 제거한 실질 GDP는 IMF 외환위기가 있었던 1998년과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9년을 제외하면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처럼 보이네요.

△ 주: data.worldbank.org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좌측 단위는 연도별 미국 10억 달러 (current U.S. billion dollar), 우측 단위는 2010년 기준 미국 10억 달러 (constant 2010 U.S. billion dollar).

이제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에 대해 감이 좀 오지 않나요? 참고로, 1화에서 다뤘던 경제성장과 관련된 GDP는 실질 GDP를 의미한답니다. 나중에 다년도에 걸친 한 국가의 경제성장 그래프를 그릴 일이 있으면 명목 GDP와 실질 GDP 가운데서 어떤 걸 써야 할까요? 네, 반드시 실질 GDP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거시경제 변수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명목 GDP와 실질 GDP에 대해 알아봤으니, 인플레이션 이야기로 돌아와 보죠.

화폐수량이론에 따르면 통화량 증가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했던 거 기억하시죠? 이걸 한 단계 발전시켜보면, 통화량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은 오로지 명목 GDP만 증가시킵니다. 반면, 실질 GDP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답니다.

이렇게 화폐의 발행이 한 나라의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측정하는 실질 GDP와 어떤 관련도 없는 걸 가리켜 화폐의 중립성(monetary neutrality)이라고 불러요. 화폐의 중립성 때문에 우리는 실질 GDP 증가를 통한 한 국가의 경제성장을 고민할 때 통화량이나 물가 같은 걸 전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죠.

그럼 글을 마무리하면서, 지인들과 한 번쯤 시도해볼 만한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대화 예시를 준비했어요.

“글쎄, 내가 토스피드에서 어떤 글을 우연히 봤거든. 글쓴이가 어렸을 때 중앙은행에서 돈을 많이 찍어내면 한국도 부자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대. 그런데 화폐수량이론에 따르면, 중앙은행에서 돈을 많이 찍어내면 물가만 계속 올라가고, 한 나라의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측정하는 실질 GDP에는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한다고 하더라고. 이걸 통화의 중립성이라고 한다는데, 혹시 알고 있었어?”

어쩌면 상대방이 귀를 쫑긋 세우며 이렇게 물어볼 수도 있겠죠.

“그럼 네가 방금 말한 실질 GDP를 증가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데?”

“아, 그거? 토스피드에 쓴 GDP에 대한 글을 보면 될 거야”라고 대답하거나… “저축률을 올려서 자본에 더 투자하거나, 교육을 통해 인적 자본의 수준을 올리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생산성을 올리는 등의 방법을 통해 실질 GDP를 증가시킬 수 있어”라고 말하면 될 것 같습니다.

거시경제 변수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개별 변수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변수들 간의 관계도 매우 중요하죠. 이번 글을 통해 GDP와 인플레이션 사이에 작은 다리 하나를 연결한 것처럼, 앞으로 다룰 변수들도 계속 서로를 연결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매일 뉴스에 나오던 그 단어> 시리즈가 끝날 즈음에는 여러분 모두가 거시경제를 바라보는 자신만의 빅 픽처를 그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Edit 손현 Graphic 김예샘, 박세희

토스피드 외부 기고는 외부 전문가 및 필진이 작성한 글로 토스피드 독자분들께 유용한 금융 팁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명한 금융생활을 돕는 것을 주목적으로 합니다. 토스피드 외부 기고는 토스팀의 블로그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되며 토스피드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김경곤 에디터 이미지
김경곤

동국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이며, 거시경제와 국제금융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돈, 경제, 세상의 흐름에 대한 책 ≪경제의 질문들≫을 썼다.

필진 글 더보기
0
0

추천 콘텐츠

지금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