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다,
금융

일 년 열두 달, 사용자는 토스를 어떻게 쓰고 있을까요? 토스 사용자 설문조사와 데이터를 통해 월별 금융 생활을 살펴봅니다. 금융 생활의 팁이 필요하다면, <달마다 금융>을 참고해 보세요. 어느새 현명한 금융 생활자가 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

* 관련 법령에 따라 데이터는 통계목적으로 익명처리하여 활용했습니다.
* 서비스 최초 시작 시점부터 2024년 말까지의 데이터 기준입니다.
* 특정 기간으로 집계된 데이터는 각주로 표기했습니다.

스크롤 해보세요

새해 다짐

새해를 맞이하면서 어떤 다짐을 했나요?
마음먹은 일이 잘되지 않아도,
작심삼일이어도 괜찮습니다.
세웠던 목표를 떠올릴 때마다
언제든 다시 시작하면 되니까요.

0명 참여중

올해 가장 이루고 싶은 목표는 무엇인가요?

건강은 모든 행복의 기초라고 하잖아요. 운동과 건강 관리에는 얼마를 쓰는 게 적당할까요? 사람들은 월평균 249,432원을 건강 관리에 쓰고 있어요. *2024년 11월 기준

월평균 건강 관리 비용

0

새해에 금융과 친해지는 게 목표라면, 토스 ‘오늘의 팁’을 추천합니다. 금융 지식과 경제 뉴스를 이해하기 쉽게 꼭꼭 씹어서 전해드려요. 672만 3,920명의 사람들이 ‘오늘의 팁’을 구독해 금융 생활에 도움 되는 정보를 일주일 평균 10.3개씩 받고 있어요. *2024년 11월 기준

돈에 대해 말 못 할 고민이 있거나, 다른 사람들의 금융 생활이 궁금하다면 오늘의 팁 ‘머니라운지’를 이용해 보세요. 금융 자산과 부동산 자산을 인증하고 솔직한 돈 이야기를 익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매일 30만 명이 머니라운지를 방문해 소비 조언을 얻고 자산 관리 팁을 공유하고 있어요. *2024년 12월 기준
머니라운지 둘러보기

즐거운 나의 집

사람들은 어느 달에 이사를 가장 많이 할까요?
흔히 새 학기를 앞둔 2월에 이사가 가장 활발하다는 이야기가 있어요.

이사를 해야 한다면 어떤 집에서 살고 싶나요? 위치, 채광, 주변 환경 등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너무나도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건 ‘비용’일 거예요. 가고 싶은 집의 월세나 관리비가 너무 비싸다면 감당하기 어려울 테니까요.

토스 ‘내 아파트 관리비’ 서비스를 이용해 아파트·오피스텔 관리비를 낼 수 있습니다. ‘내 아파트 관리비’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한 달 평균 221,068원을 관리비로 지출하고 있어요. *2024년 11월 기준

월평균 아파트·오피스텔 관리비

0

전세 계약을 고민 중인가요?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는 걸 추천합니다. 전세 대출받을 때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대출 상품을 이용했다면, 토스에서 보증료 3% 할인 + 토스포인트 15,000원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 평균 31,028원 저렴하게 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2023년 10월~2024년 11월 기준

내 집 마련을 위해서는 새집 분양받을 때 꼭 필요한 ‘주택청약종합저축통장’에 가입해 매달 일정한 금액을 납입하는 게 좋습니다. 이미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는 토스 사용자 중 35.36%가 10대일 만큼, 청약통장 가입이 금융 생활의 첫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1월 기준

청약통장에는 매달 최소 2만 원에서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지만, 공공분양주택 당첨자를 선정할 때는 월 10만 원까지만 납입액으로 인정했는데요. 2024년 11월부터 월 납입액 한도가 25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공공분양주택에 당첨되기 위해서는 1순위 자격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무주택기간이 길수록, 40㎡ 이하 평수는 납입 횟수가 많을수록, 40㎡ 초과 평수는 납입 금액이 많을수록 유리합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기

새 학기 새 마음

새 학기를 앞두고 설레던 마음, 기억하시나요?
봄바람이 살랑이는 3월, 새로운 교실에서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기 전
마음 한편이 들뜨고
긴장되던 그 시절 말이에요.

토스는 ‘우리 학교 급식표 보기’, ‘우리 학교 시간표 보기’ 등 전국 초·중·고등학교와 연계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국 12,414개의 학교가 토스 틴즈 서비스에 연결되어 있고, 매달 평균 50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토스를 통해 급식표와 시간표를 확인하고 있어요. *2024년 11월 기준

토스 틴즈 서비스에 연결된 시·도별 초·중·고등학교 *학교 수(%)

2,000 이상100 이상800 이상600 이상400 이상200 이상200 이하

지도에 마우스를 올려보세요

요즘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덕질’이 보편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어요. 토스에는 19세 미만만 사용할 수 있는 ‘덕질저금통’이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이나 스포츠 선수가 있다면 저금통을 만들어 목표 금액을 정하고 돈을 모을 수 있어요.

토스 덕질저금통을 통해 아이돌 그룹과 스포츠 선수를 포함해 총 135명(팀)이 응원 받고 있어요. 덕질저금통은 한 사람이 여러 개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303,294명이 719,688개의 덕질저금통을 만들어 좋아하는 마음을 열렬히 표현하고 있어요. *2023년 6월~2024년 11월 기준

덕질 저금통 내역

0명 참여중

가장 많은 덕질저금통이 만들어진 그룹은 어디일까요? *2025년 2월 기준

*‘우리학교 급식표 보기’, ‘덕질저금통’은 틴즈 전용 서비스로 만 7세~19세 미만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어요.

봄나들이

온화한 볕과 바람을 쐬러 나들이 가기
좋은 계절이에요.
전국 곳곳에서 열리는
봄꽃 축제에 마음까지 향기로워져요.
여러분은 올해 어디로 떠날 계획인가요?

봄나들이를 계획하고 있다면 토스에서 기차를 예매해 보세요. KTX, SRT, ITX, 새마을, 무궁화 등 다양한 기차를 간편하게 예매할 수 있습니다. 이맘때쯤, 사람들은 기차를 타고 어디를 가장 많이 갔을까요?

NaN% 사람들이 틀리는 문제

4~5월, 토스를 통해 기차표가 가장 많이 결제된 구간은 서울-부산이다?

멀리 가기 어렵다면 근처에서 킥보드나 자전거를 빌려 봄 날씨를 만끽해 보세요. 토스에서는 따릉이(서울시 공공자전거), 전기 자전거(지쿠, 킥고잉), 킥보드(지쿠, 킥고잉, 씽씽)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1인당 월평균 3.74회 토스를 이용해 탈 것을 빌리고 있어요. *2023년 12월~2024년 11월 기준
토스로 탈 것 빌리기

가정의 달

5월에는 어린이날, 어버이날, 부부의날 등
가족을 아끼고 챙길 수 있는 날이 많아요.
오월에는 우리 가족에 대해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요?

청소년을 자녀로 둔 부모님이라면 용돈을 얼마 줘야 할지 고민이 많을 거예요. 토스 사용자 16,479명 에게 물어본 결과, 나이대별로 다음과 같은 금액의 용돈을 받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2025년 1월 기준

나이대별 용돈 금액

8~10세

11~13세

14~16세

17~19세

차트에 마우스를 올려보세요

그런데 이렇게 받은 용돈, 틴즈 사용자들은 어디에 쓰는 걸까요? 만 7세부터 19세까지 사용할 수 있는 ‘토스 유스카드’ 사용 내역을 분석해 본 결과 편의점에서 가장 많은 소비가 일어났어요. *2024년 11월 기준

토스 유스카드 사용 내역

1

편의점·마트·잡화

2

식비

3

취미·여가

월급을 받기 시작하면 부모님에게 일정 금액을 용돈이나 생활비로 보내기도 해요. 얼마를 드려야 할지 고민이 많을 텐데요. 토스 사용자 11,115명에게 물어본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월 10~30만 원 정도의 용돈을 부모님께 드리고 있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어요. 연령대 별 부모님께 드리는 용돈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아요.

월평균 부모님께 드리는 용돈

100만 원 이상

50~100만 원

30~50만 원

10~30만 원

10만 원 미만

우리 가족을 금융 범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싶다면 토스의 ‘가족 보안 지킴이’를 이용해 보세요. 보이스피싱, 명의도용과 같은 금융사고가 의심되면, 서로 연결된 가족에게 토스 앱 푸시나 카카오톡으로 경고 알림을 보내줍니다.
가족 보안 지킴이 이용해 보기

덕질 저금통 내역

지구를 지켜라

6월 5일은 세계 환경의 날이에요. 유월의 초록을 오래오래 보고 싶다면,
환경을 생각하는 아주 작고 사소한 실천부터 해봐도 좋아요.

0명 참여중

환경을 위한 소비 실천, 몇 개나 해봤나요? (중복 선택 가능)

종이고지서를 안 받는 것만으로도 환경에 도움이 됩니다. 종이고지서 대신 토스를 이용해 전자고지서를 받아보세요.

  • 토스에서 재산세, 주민세, 자동차세와 같은 지방세 고지서를 받고 납부할 수 있어요. 7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토스로 전자고지서를 받고 지방세를 납부하고 있습니다. *2022년 2월~2024년 11월 기준
    지방세 납부 알아보기

  • 서울에 살고 있다면, 토스에서 수도요금을 확인하고 납부할 수 있어요. 토스로 서울시 수도요금을 내면 1% 할인 혜택(최소 200원, 최대 1,000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수도요금 내기

  • 토스 ‘증명서 발급하기’를 이용하면, 주민등록 등초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소득금액증명 등 각종 증명서를 출력 없이 토스에서 조회·보관·제출할 수 있습니다.
    증명서 발급하기

사장님 체크리스트

사장님들이 바빠지는 7월은
부가세 신고·납부의 달이에요.
법인사업자라면 내야 할 세금이 없는지 꼭
확인해 봐야 하는 시기이기도 하죠.
토스는 사업자를 위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요.

0명 참여중

혹시 방문했던 가게에서 이런 단말기를 본적 있나요?

토스 프론트

심플하고 아담한 토스 단말기가 요즘 사장님들을 사로잡고 있어요. 새로 가게를 여는 사장님 중 4명 중 1명이 토스 단말기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특히 40대 사장님들에게 가장 인기가 좋아요.

지금까지 72,000개 이상의 가게에서 1억 7,000만 번이 넘는 결제가 토스 단말기로 이뤄졌어요. 토스 단말기에서는 단골 고객을 만들기 위한 포인트 적립 기능도 제공하는데요. 380만 명 이상이 포인트를 적립하고 있어요.

토스 단말기에서 이루어진 결제 횟수

000

온라인 결제할 때도 토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결제 할 때 토스페이먼츠의 결제창을 만난 경험, 한 번쯤은 떠오르실 텐데요. 전체 전자결제사업자 중 25%가 토스페이먼츠의 결제 페이지를 사용한 적 있어요. *2024년 9월 기준

토스페이먼츠 결제 샘플

토스페이먼츠에서는 브랜드가 자체 간편결제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토스페이먼츠가 제공하는 자체 간편결제를 사용하면 결제전환율이 앱카드보다 평균 17%p 높아요. *2024년 9월 기준

공항 가는 길

여권을 제대로 챙겼는지 확인하고
또 확인하며 공항으로 가는 길.
가방은 무겁지만 마음은 날아갈 듯 설레죠.
이국적인 풍경을 즐기러 갈 때엔
토스뱅크와 함께해 보세요.

토스뱅크를 이용하면 환전 수수료 무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토스뱅크가 은행 최초로 환전 수수료를 없앤 결과, 지금까지 195만여 명의 사용자가 새로운 환전을 경험했어요. 절약한 환전 수수료만 1,564억 원에 달해요. 1인당 약 79,000원의 환전 수수료를 아낀 셈입니다. *2024년 1월 18일~2024년 11월 30일 기준

1인당 아낀 환전 수수료

0

토스뱅크 ‘나눠모으기 통장’을 이용하면 여행을 위한 목돈을 더 쉽게 모을 수 있을 거예요. 나눠모으기 통장은 목적에 따라 자산을 여러 개로 쪼개놓고 자유롭게 입출금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설정한 키워드 1위는 '여행’이에요. 2위는 ‘저축', 3위는 ‘경조사’입니다. *2024년 2월 6일~2024년 12월 9일 기준

나눠모으기 통장 인기 키워드

1

여행

2

저축

3

경조사

토스에서 해외여행자보험도 들 수 있어요. 토스 사용자들은 건당 평균 8,471원의 비용으로 해외에서 위험 상황을 대비하고 있어요. *2023년 5월~2023년 12월 기준

명절 인사

누군가에게 고마웠던 마음을 전달하고 싶은데,
계기가 없어서 망설였다면 바로 지금이에요.
명절 인사와 함께 작은 선물로 마음을
표현해 보면 어떨까요?

명절 선물, 어떤 걸 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다른 사람들은 무엇을 가장 많이 샀는지 참고해 보세요. ‘토스쇼핑’에는 식품부터 뷰티, 전자제품까지 다양한 아이템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24년 토스쇼핑 추석기획전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던 상품 TOP 3는 여수돌산갓김치, 유기농 레몬즙, 백미(쌀)였어요.

2024년 추석 토스쇼핑 인기상품

여수 돌산 갓김치

유기농 레몬즙

백미 (쌀)

차트에 마우스를 올려보세요

선물 보내고 싶은 사람이 너무 많아서 걱정이라면? 토스쇼핑에서 선물을 구매해 보세요. 토스쇼핑 사용자들은 1년에 163,258원씩 할인받고 물건을 사고 있어요. *2023년 12월~ 2024년 11월 기준
토스쇼핑 둘러보기

연 평균 토스쇼핑 할인 혜택

163,258원

가을엔 문화를

좋아하는 책의 한 구절이 주는 위로,
영화 한 편이 주는 기쁨과 감동이 무엇보다
클 때가 있죠.
사람들은 어떤 문화생활을
즐기는지, 문화생활에 평균
얼마를 쓰는지 알아봤어요.

0명 참여중

내 문화생활을 가장 잘 설명하는 문장은 무엇인가요?

사람들은 온라인 미디어(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티빙 등)에 월평균 16,963원을 소비해요.

월평균 볼거리 소비 금액

0

사람들은 도서, 전자책, 웹소설 등에 1인당 월평균 39,551원을 쓰고 있어요.

월평균 읽을거리 소비 금액

0

뮤지컬, 페스티벌, 콘서트 등 공연을 즐기는 사람들도 있어요. 사용자 1명당 티켓 예매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금액은 월평균 111,833원이에요.

월평균 즐길거리 소비 금액

0
*2024년 11월 기준

블랙프라이데이

돈 쓰는 일은 1년 365일 언제나 즐겁지만,
유독 11월이 되면 소비 금액이 늘어난대요.
내 통장을 지키고 싶다면
특히 11월을 주의해야겠어요.

토스에서는 11월, 패션 관련 소비가 전달 대비 증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패션 분야의 거래금액이 2024년 10월 대비 11월에 46.15% 늘었어요. 블랙프라이데이 같은 할인 행사가 많고, 겨울옷이 다른 계절복에 비해 객단가(고객 1인당 평균매입금액)가 높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2024년 10~11월, 토스페이 결제건 기준

패션 관련 소비 금액 비교

10월

11월

소비 금액에도 트렌드가 있다는 게 신기하지 않나요? 초·중·고·대학생들의 방학 시즌이 되면 게임과 배달음식 관련 결제 금액이 늘어납니다.

게임 관련 거래금액이 2023년 6월 대비 7월에 25.91% 증가했어요. 게임 거래액은 겨울방학에도 증가하는 추세였는데요. 2024년 1월에는 거래금액이 전달 대비 7.59%가, 2월에는 전달 대비 11.72%가 늘어났어요. *2023년 6월~2024년 2월, 토스페이 결제건 기준

방학 시즌 게임 관련 거래 금액

23년 6월

23년 7월

24년 1월

24년 2월

배달음식 관련 거래금액이 6월 대비 7월에 11.11% 늘었어요. 8월에도 7월 대비 거래액이 3.30% 늘었고요. 하지만 겨울방학 시즌인 1~2월에는 전달 대비 배달음식 거래액이 줄어들었어요. *2023년 7월~2024년 2월, 토스페이 결제건 기준

산타랠리

연말의 긍정적인 분위기는 주식시장도
활발하게 만들어요.
크리스마스와
새해 사이에 주가가 오르는 경향을
‘산타랠리’라고 하는데요.
덕분에 투자자들은 투자 성과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연말을 보내곤 해요.

토스증권 사용자들에게 가장 인기가 좋은 종목은 무엇일까요? 토스증권 사용자가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 TOP 3는 테슬라, 삼성전자, 애플이에요. *2022년 1월~2024년 11월 기준

0명 참여중

토스증권 사용자들이 가장 처음으로 산 종목 1위는 무엇일까요?

‘주식 모으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설정한 주기에 따라 주식을 자동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매일, 매주, 매달 원하는 주기에 원하는 주식을 원하는 금액 또는 수량만큼 계속 사 모을 수 있어요. 2024년 11월 한 달 기준, 한 달 동안 주식 모으기를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사용자 수는 68.6만 명이고, 그중 43%는 2030이었어요.

차트에 마우스를 올려보세요

현명한 주식 투자를 위해서는 좋은 정보를 얻는 것도 중요합니다. 토스증권에서는 종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토스증권 계좌를 가지고 있고, 2024년 11월 중 토스증권에 한 번이라도 방문한 사용자 중 44%가 커뮤니티에서 활발하게 의견을 나누고 있어요. 그중 84.8%는 자신이 글을 쓴 종목을 실제로 가지고 있는 주주예요.

스퀘어
오브 토스

토스 10주년을 돌아보고, 함께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는 스퀘어 오브 토스에 초대합니다.

스퀘어 오브 토스 둘러보기

금융 성향
테스트

금융 플래닝의 가장 첫번째 단계, 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나의 금융 성향을 찾아보세요.

나는 어떤 금융 성향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