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모은 돈

by 박병후

일억을 모았다. 대학원을 졸업할 무렵 과외와 장학금으로 모아둔 돈이 천만 원이었고, 회사를 다니는 2년 동안 구천만 원을 더 모았다. 그렇게 딱 일억(100,000,000)이 됐다.

휴대폰에 찍혀 있는 아홉 자리 숫자를 보고 있으면 오묘한 감정이 찾아온다. 때론 뿌듯함이기도 가끔은 미안함이기도 하지만, 대개의 경우 그건 ‘비루함’이었다.

돈이 궁한 적 없었다

아주 부유한 집안은 아니었지만, 네 식구가 먹고살 만큼은 버는 아버지 밑에서 절약이 생활화된 어머니를 보고 자랐다. 덕분에 돈 걱정 없이 학업에 전념했고 좋은 대학에 합격할 수 있었다.

성인이 되어서도 돈에 쪼들릴 일은 별로 없었다. 4년 내내 기숙사에 당첨되어 학기당 40만 원이면 거주비가 해결됐다. 또 명문대 수학교육과라는 타이틀 덕분에 과외를 구하기도 쉬웠다. 부족한 학비와 생활비는 부모님이 충당해 주었고, 가끔은 성적 장학금을 타서 해외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학교를 졸업할 때쯤 수중에는 어렵지 않게 모은 돈 2천만 원이 있었다. 그 돈의 상당 부분은 대학원 학비로 빠져나갔지만, 빚을 진 것도 아니었으므로 큰 부담은 없었다.

그 무렵의 나는 주변 사람들에게 이런 말을 하고 다녔다. ‘돈이 아닌 꿈을 좇는 사람이 되고 싶다’. 물질적인 것에 현혹되지 않겠다는 의도로 한 말이었지만,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궁핍해본 적 없는 사람만이 내뱉을 수 있는 말이었다. 꿈을 이루려면 노력해야 하고 노력을 하려면 시간이 필요한데, 그 시간을 벌 수 있는 건 돈 뿐이었다.

우리 사이의 기울기

언젠가 학과사무실에서 연락을 받은 적 있다. 이전 학기 성적이 좋아서 전액 장학금을 받게 되었는데 혹시 다른 친구에게 양보할 생각이 있느냐는 내용이었다. 내가 다닌 학과는 매 학기 4명의 성적 장학생을 선발했다. 1등에게는 전액 장학금을, 2등부터 4등까지는 반액 장학금을 줬다. 그런데 직전 학기 최고 학점을 받은 사람이 두 명 나온 것이다. 원칙상으로는 더 많은 과목을 수강한 내가 1순위였지만, 다른 친구의 형편이 어려워 학과사무실에서 문의가 온 것이었다.

“양보하지 않겠습니다.”

짧게 답을 남기고 전화를 끊었다. 마음 한편에서 분노가 일었다. 똑같은 수업을 듣고 동일한 24시간을 보냈다. 그 시간 동안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하고 과제를 수행했는데, 그렇게 얻어낸 결과를 양보하라는 말이 마치 내 노력을 무시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안 그래도 부모님의 소득분위가 높아 신청할 수 있는 장학금이 성적장학금뿐이었다. 그런데 그것마저 내려놓으라 하니 화가 차올랐다.

그 분노를 식혀준 건 모종의 부끄러움이었다. 사실 알고 있었다. 이 결과가 공평할 순 있을지언정 그 과정이 공정하진 않다는 걸 말이다. 학비 생활비 걱정 없이 공부만 하는 학생과, 매일 알바와 과외를 하며 틈틈이 공부하는 학생의 출발선이 같을 리 없었다.

그걸 알고 있음에도 장학금을 포기할 수 없었다. 내가 노력해서 받은 결과물이니까, 그 친구는 다른 곳에서도 장학금을 받을 수 있을 테니까, 그렇게 자위하며 부끄러움을 지워버렸다.

학과사무실에서 그의 이름을 알려주진 않았지만, 누군지 유추하는 건 어렵지 않은 일이었다. 같은 과 학생들이 듣는 전공 과목이 상당 부분 겹치기에 서로의 학점을 대략 알 수 있었다. 그의 이름은 연우(가명)였다.

연우와는 접점이 별로 없었다. 나도 학과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그 역시 행사 때마다 어디론가 사라지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학과사무실에서 전화를 받은 날부터 연우의 행적이 신경 쓰이기 시작했다.

동기들에게 물어보니 1학년 때부터 과외를 서너 개씩 하는 걸로 유명했다고 한다. 수업과 수업 사이 공강 시간에는 근로장학생으로 일했고, 매년 기숙사에 떨어져 학교 근처 월세가 가장 싼 동네에서 자취를 하고 있었다. 당시 그 동네의 월세 평균이 40만 원이었다. 그리고 내가 지내던 기숙사의 6개월치 거주비가 꼭 40만 원이었다.

겨울에 스키장을 가면 이런 생각이 든다. ‘생각보다 경사가 안 심한데?’ 그런데 막상 위에 올라가 아래를 내려다보면 상상 이상으로 가파른 경사에 놀라곤 한다.

연우와 나 사이의 기울기가 딱 그랬다. 같은 과를 다녔기 때문일까, 멀리서 볼 땐 그의 삶이 얼마나 버거운지 알지 못했다. 매일 학관에서 1,000원짜리 학식을 먹고, 오르는 월세를 피해 더 안쪽 동네로 이사를 가는 연우를 보고서야 알 수 있었다. 우리 사이의 경사가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 그리고 양보하지 않겠다는 내 대답에 결여된 게 무엇이었는지를.

세상에 쉽게 쓰여진 시가 없듯이

그날을 기점으로 연우를 피해 다녔다. 원래도 가까운 사이가 아니었기에 그를 피하는 건 어렵지 않았다. 그 뒤로 나는 대학원을 졸업해 회사에 취업했고, 그는 임용고시를 통과해 교사가 되었다. 한동안 그를 잊고 지냈다. 가끔 친했던 동기와 안부를 주고받다 한 번씩 언급되는 게 전부였다. 그렇게 경사의 아찔함이 서서히 잊혀갈 무렵, 한 통의 전화가 왔다.

“진짜 오랜만이네, 잘 지내?”

연락처에 저장은 되어 있지만 한 번도 눌러볼 생각을 않던 번호로 연우가 안부를 물어왔다. 어떻게 답해야 하나 허둥대고 있는데, 그가 용건을 말했다. 자기 지인이 대학원에 관심이 있어서 몇 가지 물어봐도 되겠냐 하는 것이었다. 흔쾌히 수락했다.

몇 개의 문답을 하고 나자, 자연스레 근황 토크로 이어졌다. 나는 그에게 중학교 교사 생활은 어떠한가 물어보았고, 그는 내게 어쩌다 IT회사에 들어갔는지 물어보았다. 이날의 대화만 놓고 보면 우린 꽤 가까운 친구처럼 보였다. 대학생 시절 몇 마디 나눠본 적 없는 사이라곤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 그렇게 이런저런 대화를 주고받다 연우가 말했다.

“나, 드디어 학자금 대출을 다 갚았어!”

그제야 우리 사이의 거리가, 그 거리를 더 벌려놓았던 나의 비루함이 다시 고개를 들었다. 그는 알고 있을까, 그때 나로 인해 전액장학금을 받지 못했다는 걸. 그걸로 몇 개월치 과외와 알바를 더 했어야 했다는 걸. 그런 네 상황을 알고 있었음에도 내가 모른 척했다는 걸.

전화를 끊고 싶어졌다. 통화가 길어지는 만큼 나의 비겁함도 비대해지는 느낌이었다. 하지만 전화를 끊는 대신 내가 선택한 건 고백이었다. 오늘이 아니면 영영 기회가 오지 않을 것 같아 말을 꺼냈다. 그때 내가 장학금을 받았다고, 노력을 인정받는 게 더 중요해서 그런 선택을 했노라고, 기나긴 고해성사를 했다.

한참 동안 듣고만 있던 연우가 뒤늦게 입을 열었다.

“윤동주 시인의 <쉽게 쓰여진 시>가 생각나네.”

어쭙잖은 동정이라 했다. 당시 본인이 전액장학금을 받지 못한 것은 정당한 결과였으며, 그로 인해 내가 품은 미안함은 동정심일 뿐이라고. 그 심정은 이해하나 스스로를 부끄럽게 여기지는 말라고 했다. 세상에 쉽게 쓰여진 시가 없듯이, 쉽게 모을 수 있는 돈도 없다고. 그리곤 정 마음이 쓰인다면 차라리 좋은 곳에 기부를 해달라 말을 덧붙였다.

‘비루함’에 대해 생각한다

사람을 비루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지금 생각하기로는 '내려놓지 못함'에 그 원인이 있는 것 같다. 자존심을 내려놓지 못해 비열해지고, 인정 욕구를 내려놓지 못해 비겁해진다.

돈이란 것도 마찬가지다. 모으면 모을수록 더 많은 돈을 좇게 되면서도, 정작 한 줌 내려놓는 건 그렇게 어려울 수 없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돈 앞에서 비루해지나 보다. 휴대폰에 찍혀 있는 일억, 아홉 자리 숫자를 보면 찾아오는 오묘한 감정의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었다.

일부를 아동병원에 기부했다. 한 학기 등록금 분의 금액. 누군가를 돕겠다는 호의도, 좀 더 나은 사회가 되길 바라는 마음의 선의도 아닌, 그저 스스로의 짐을 덜어내고자 지불한 돈이었다. 그럼에도, 그렇게 이기적인 마음으로 행한 기부에도 나의 비루함은 조금씩 씻겨 내려갔다.

연우는 아니라 말했지만 여전히 스스로가 돈을 쉽게 모았다고 생각한다. 이전에는 그 사실이 부끄럽게 여겨졌으나, 이제는 다른 쪽으로 승화시켜 보려 한다. 쉽게 모은 만큼 쉽게 나눠보는 쪽으로. 그렇게 손에 쥔 것을 내려놓으면서 나의 비루함도 같이 흘려보내기로 했다.


Edit 금혜원 Graphic 조수희

해당 콘텐츠는 2023.8.30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우리에겐 더 많은 돈이 필요하다16편의 수상작, 책으로도 만나보세요
박병후 에디터 이미지
박병후

낮에는 AI 개발자, 밤에는 ‘초고’라는 필명의 작가로 활동 중. 꿈과 나다움에 관한 글을 주로 쓴다.

필진 글 더보기
0
0

추천 콘텐츠

연관 콘텐츠